빛2 빛으로 대화하기 – 빛 신호를 언어로 쓰는 현대 기술들 신호에서 언어로: 빛을 이용한 소통의 기원과 발전 인류가 빛을 이용해 소통하기 시작한 것은 아주 오래전의 일이다. 아직 무선 통신 기술이 없던 시절, 사람들은 멀리 떨어진 곳에서 서로의 존재를 알리거나 긴급한 상황을 전파하기 위해 빛을 활용했다. 예를 들어 고대 중국에서는 ‘봉화대’가 대표적인 사례다. 산 정상에 설치된 봉화대에서 연기를 올리거나 불빛을 피워 올려 침입자를 알렸는데, 그 불빛은 일종의 언어이자 신호 체계였다. 단순히 불을 피웠다 껐다 하는 것만으로도 수십 킬로미터 떨어진 곳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었던 것이다.이후 문명이 발달하면서 빛은 단순한 알림의 도구를 넘어 점차 체계적인 소통 수단으로 진화했다. 19세기에는 ‘헬리오그래프(heliograph)’라는 장치가 등장했다. 이는 거울을 이용.. 2025. 8. 22. 청각 없는 세상 – 청각장애인의 감각 확장 기술과 문화 1. 감각을 재해석하다: 청각장애인의 세계를 바꾸는 감각 확장 기술 청각장애인의 삶은 단지 ‘소리를 듣지 못하는 것’으로 단순화할 수 없습니다. 그들의 일상은 비청각적인 방식으로 세계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방식으로 재구성되어 왔고, 이는 현대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차원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급격히 발전한 감각 확장 기술(Sensory Substitution Technology)은 이들에게 소리 없는 세상에서도 정보를 풍부하게 받아들이는 창구가 되어주고 있습니다.감각 확장 기술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감각이 제한되었을 때 다른 감각을 활용해 그 정보를 대체하거나 보완해주는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촉각’을 활용하여 소리의 리듬이나 강약을 전달하는 전자팔찌 형태의 기기가 대표적입니다. 미국.. 2025. 7. 19. 이전 1 다음